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어니스트 헤밍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1899년 일리노이주 오크파크에서 태어난 미국의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로, 20세기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었고, 파리에서 거트루드 스타인, 제임스 조이스, 에즈라 파운드 등과 교류하며 작가적 성장을 이루었다. 헤밍웨이는 사랑, 전쟁, 황야, 패배를 주제로 한 간결하고 강렬한 문체로 유명하며,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노인과 바다》 등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미국 문학의 문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5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자살 -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은 고압 물리학에 기여하고 조작주의 철학을 주창한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로, 고압 상태 물질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밀봉 장치를 개발하고 획기적인 압력 수준을 달성하여 194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미국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올리버 로
    올리버 로는 미국의 노동 운동가이자 군인으로, 스페인 내전에서 에이브러햄 링컨 여단에 합류해 파시즘에 맞서 싸웠으며, 하라마 전투에서 공훈을 세웠으나 브루네테 전투에서 전사했다.
  • 쿠바에 거주한 미국인 - 크리스털 게일
    1951년 켄터키에서 태어난 컨트리 팝 가수 크리스털 게일은 언니 로레타 린의 영향을 받아 음악을 시작, "Don't It Make My Brown Eyes Blue" 등의 히트곡으로 성공하고 긴 머리카락을 트레이드마크로 컨트리 팝의 크로스오버 성공을 이끌며 그래미상 수상 및 명예의 전당 헌액 등 컨트리 음악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쿠바에 거주한 미국인 - 벌 아이브스
    벌 아이브스는 미국의 배우, 가수, 작가로, 포크 가수로 활동하며 민요를 대중화시켰고, 배우로 전향하여 영화와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활약했으며,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고 《루돌프 사슴 코》의 목소리 연기와 노래로도 알려져 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9년 헤밍웨이
1939년 12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집필 중인 헤밍웨이
본명Ernest Miller Hemingway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
출생지일리노이주 오크파크
사망지아이다호주
직업소설가
시인
저널리스트
활동 기간1923년 - 1961년
장르전쟁 소설
연애 소설
하드보일드
사조잃어버린 세대
영향거트루드 스타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셔우드 앤더슨
시오도어 드라이저
크누트 함순
마크 트웨인
영향을 준 인물잭 케루악
헌터 S. 톰슨
브렛 이스턴 엘리스
J. D. 샐린저
찰스 부코스키
코맥 매카시
오가와 구니오
서명
가족
배우자해들리 리처드슨 (1921년 결혼, 1927년 이혼)
폴린 파이퍼 (1927년 결혼, 1940년 이혼)
마사 겔혼 (1940년 결혼, 1945년 이혼)
메리 웰시 헤밍웨이 (1946년 결혼, 1961년 헤밍웨이 사망)
자녀잭 헤밍웨이
패트릭 헤밍웨이
그레고리 헤밍웨이
친척(동생)
마리에르 헤밍웨이 (손녀)
마고 헤밍웨이 (손녀)
수상
수상 내역퓰리처상 픽션 부문 (1953년)
노벨 문학상 (1954년)
노벨상 수상 이유"노인과 바다"에 대표되는, 서술의 예술에 대한 숙달과, 현대 스토리텔링 형식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주요 작품
주요 작품세 개의 단편과 열 개의 시 (1923년 데뷔)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 (1926년)
무기여 잘 있거라 (1929년)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1940년)
노인과 바다 (1952년)

2. 생애

거트루드 스타인, 제임스 조이스, 에즈라 파운드 같은 거목들을 만나 빠르게 성장한 헤밍웨이는 카르티에 라탱에 위치한 카르디날 르무안 거리 74번지(Rue du Cardinal-Lemoine|카르디날 르무안 거리 74번지프랑스어)의 작은 아파트에 살았으며, 근처 건물의 셋방에서 일을 했다.[7] 파리에서 모더니즘의 수호자였던 스타인[8]은 헤밍웨이의 멘토이자 아들 의 대모가 되었다.[77] 스타인은 헤밍웨이에게 자신이 ‘잃어버린 세대’라고 칭한 몽파르나스에 거주하는 타국 출신의 예술가와 작가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헤밍웨이는 스타인의 살롱의 단골이던 파블로 피카소, 호안 미로, 후안 그리스와 같은 화가들을 접하게 된다.[28] 하지만 헤밍웨이는 스타인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둘의 관계는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문학적인 견해 차로 인해 나빠진다.

1922년에는 실비아 비치의 서점인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에서 에즈라 파운드와 우연히 만나게 된다. 둘은 1923년 이탈리아 여행을 같이 떠나고, 1924년에는 같은 거리에 살게 된다. 둘은 서로 깊은 유대 관계를 맺었고, 헤밍웨이의 재능을 알아차린 파운드는 이를 개발하는데 여러 도움을 주었다.[28] 파운드는 헤밍웨이에게 제임스 조이스를 소개해주었고, 곧 조이스는 헤밍웨이의 친한 술친구가 된다.[82]

파리에서의 첫 스무 달 동안 헤밍웨이는 《토론토 스타》에 여든여덟 개의 글을 기고한다.[24] 헤밍웨이는 그리스-터키 전쟁을 보도하면서 스미르나 대화재를 직접 경험하였으며, ‘스페인의 참치 낚시’나 ‘유럽 전역의 송어 낚시: 독일보다 뛰어난 스페인’과 같은 여행 기사를 쓰기도 하였다.[5]

1923년 9월 헤밍웨이와 해들리는 토론토로 돌아오고, 동년 10월 10일에는 아들 잭 헤밍웨이가 태어난다. 그사이 헤밍웨이의 첫 책인 《세 편의 단편과 열 편의 시》가 출판된다. 몇 달 뒤 두 번째 책인 《우리들의 시대에》(''in our time|in our time영어'', 소문자)가 출판되었다. 토론토가 지겨워진 헤밍웨이는 이내 파리가 그리워졌고, 기자보다는 작가로서의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졌다.

헤밍웨이와 해들리는 1924년 1월 파리로 돌아와 노트르담 데샹 거리(rue Notre-Dame des Champs|노트르담 데샹 거리프랑스어)에 위치한 아파트로 집을 옮긴다. 헤밍웨이는 포드 매덕스 포드의 《더 트랜스아틀랜틱 리뷰》(''The Transatlantic Review|The Transatlantic Review영어'') 편집을 도와줬는데, 이 문예지에는 파운드, 존 더스 패서스, 엘사 폰 프라이타크로링호벤, 스타인의 작품 뿐만 아니라 헤밍웨이의 초기작인 〈인디언 부락〉 등이 실렸다.[126] 1925년 출판된 《우리들의 시대에》(''In Our Time|In Our Time영어'', 대문자)에는 포드의 평이 실렸다.[34][127]인디언 부락〉은 평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미국의 평론가들은 헤밍웨이 특유의 간결한 문체를 통해 단편이라는 장르를 새로이 되살아나게 하였다는 평을 내렸다. 여섯 달 뒤 헤밍웨이는 F. 스콧 피츠제럴드를 만나게 되고, 이내 서로 ‘적대적이면서도 존경하는’ 우정 관계를 맺게 된다. 같은 해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가 출판되었는데, 작품을 읽고 감명받은 헤밍웨이는 자신의 다음 작품을 장편 소설로 정하게 된다.

1925년 7월 스페인 여행 도중 팜플로나의 한 카페에서 촬영한 사진. 헤밍웨이 부부와 더프 트위스덴, 그 외 친구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헤밍웨이는 아내 해들리와 함께 1923년 스페인 팜플로나에서 열린 산 페르민 축제에 가게 된다. 그곳에서 헤밍웨이는 투우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고, 또한 이 때부터 ‘파파’(Papa|파파영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3] 헤밍웨이는 1924년과 1925년 6월, 팜플로나를 다시 방문한다. 세 번째 방문 때는 더프 트위스덴, 팻 거스리(Pat Guthrie|팻 거스리영어), 해럴드 러브(Harold Loeb|해럴드 러브영어)와 함께 가게 된다.[89] 헤밍웨이는 축제가 끝나고 며칠 뒤 자신의 생일날을 기점으로 작품 초안을 쓰기 시작하고, 여덟 주의 시간을 걸쳐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를 완성한다.[189] 1925년 12월에는 오스트리아 슈룬스로 떠나 겨울 내내 원고를 대폭 수정하는데 시간을 보낸다. 이듬해 1월 폴린 파이퍼가 합류하고, 해들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헤밍웨이가 스크리브너스와 계약을 맺도록 만든다. 헤밍웨이는 출판사들과 만나기 위해 뉴욕으로 잠시 떠나고, 돌아오던 중 잠시 머무른 파리에서 파이퍼와 불륜 관계를 맺게 된다. 슈룬스로 돌아온 헤밍웨이는 3월에 원고 수정을 마친다. 원고는 4월이 되어 뉴욕에 도착하였고, 1926년 8월 파리에서 최종적으로 탈고를 한 뒤 스크리브너스에서는 10월에 소설을 출판한다.[189][44]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는 전쟁 직후 해외에서 떠도는 이들의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헤밍웨이의 대표작이다.[192] 헤밍웨이는 이후 편집자인 맥스웰 퍼킨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작품의 요점은 사실 ‘잃어버린 세대’보다는 ‘영원히 머무르는 지구’에 있다고 말하였다. 헤밍웨이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힘들고 지쳤을지언정 그들이 길을 잃어버린 것은 아니기를 원한 것이었다.[82]

해들리와의 결혼 생활은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의 작업을 거듭하면서 나빠지게 된다.[44] 1926년 초, 해들리는 헤밍웨이가 파이퍼와 불륜을 맺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43] 파리로 돌아온 헤밍웨이에게 해들리는 별거를 하자고 말하고, 그해 11월에는 이혼 얘기를 꺼내게 된다. 둘은 재산을 서로 나누고, 헤밍웨이는 해들리에게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의 수익금을 나눠주기로 약속한다. 1927년 1월 정식으로 이혼한 헤밍웨이는 그해 5월에 파이퍼와 재혼을 한다.[172]

1927년 파리에서의 헤밍웨이와 폴린 파이퍼.


파이퍼는 아칸소의 부유한 가톨릭 집안에서 자라났으며, 《보그》의 편집자로 일하며 파리에서 머물렀다. 결혼하기 전 헤밍웨이는 파이퍼를 따라 개종을 하게 된다. 부부는 르 그로뒤루아로 신혼여행을 떠났다. 그곳에서 헤밍웨이는 탄저병에 걸리게 되고, 차기 단편집 구상을 시작하였다. 1927년 10월 출판된 《여자 없는 남자들》에는 그의 권투 경험을 다룬 〈오만 달러〉 등이 수록되어 있다.[195]

그해 말, 아이를 갖게 된 파이퍼는 미국으로 되돌아가기를 원했다. 존 더스 패서스는 키웨스트 섬을 권하였고, 1928년 3월 부부는 그의 충고를 따라 파리를 떠나게 된다. 파리를 떠나기 전 헤밍웨이는 집 화장실에서 사고로 인해 크게 다치고 만다. 변기 체인을 내리려다 실수로 천창을 아래로 잡아당기며 머리를 부딪혔으며, 이 사고로 이마에 큰 상처를 갖고 살아가게 된 헤밍웨이는 이후에도 상처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대답을 꺼려하게 된다. 파리를 떠난 이후 헤밍웨이는 다시는 대도시에서 살지 않게 된다.[20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헤밍웨이는 둘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헤밍웨이는 1899년 7월 21일 일리노이주 오크파크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 클래런스 에드먼즈 헤밍웨이(Clarence Edmonds Hemingway영어)는 의사였으며, 어머니 그레이스 홀 헤밍웨이(Grace Hall Hemingway영어)는 성악가였다.[2] 헤밍웨이는 둘째이자 장남으로, 마르셀린(Marcelline영어, 1898년 출생), 어설라(Ursula영어, 1902), 매들린(Madelaine영어, 1904), 캐롤(Carol영어, 1911), 레스터(Leicester영어, 1915)과 같이 모두 다섯 명의 형제자매가 있었다.[2]

마을에서 유명한 음악가였던 어머니는 헤밍웨이에게 첼로를 배우도록 강요하였고 이는 곧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6] 하지만 헤밍웨이는 훗날 어릴 적 받은 음악 레슨이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쓰인 ‘대위법적인 구조’와 같이 글을 쓰는데 있어서 유용했다고 언급한다.[7] 헤밍웨이 일가는 미시간주 피토스키 인근에 위치한 왈론 호에 윈드미어라고 불리는 여름 별장을 갖고 있었다. 당시 4살이었던 헤밍웨이는 그곳에서 아버지로부터 사냥, 낚시, 캠핑 등을 하는 법을 배웠다. 유년기 이러한 경험은 헤밍웨이에게 바깥에서의 모험과 오지에서의 삶에 대한 매력을 깨닫게 해주었다.[8]

1905년 헤밍웨이 일가의 사진.


헤밍웨이는 1913년부터 1917년까지 오크파크 앤드 리버포레스트 고등학교에 다니며 복싱, 육상, 수구, 축구 등의 여러 스포츠를 배웠다.[6] 영어 과목에 뛰어났으며,[6] 2학년 때는 패니 빅스(Fannie Biggs영어)가 가르친 저널리즘 수업을 들었다. 수업은 ‘교실이 마치 신문사 사무실인 것처럼’ 이루어졌는데, 우수 학생은 교내 신문인 《더 트래피즈》(''The Trapeze''영어)에 실리는 기사를 쓸 수 있었다. 헤밍웨이는 《더 트래피즈》와 교내 연감인 《더 태뷸러》(''The Tabula''영어)에 투고와 편집을 계속하면서 스포츠 기자들의 문체를 따라 하고 익히게 된다. 당시 헤밍웨이는 《시카고 트리뷴》의 링 라드너의 이름에서 따와 ‘링 라드너 주니어’(Ring Lardner, Jr.영어)라는 필명을 사용하였다.[9] 고등학교 졸업 후 헤밍웨이는 《캔자스 시티 스타》의 신참 기자로 일하기 시작했다.[9]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스타》 지의 스타일 가이드는 헤밍웨이의 문체의 기초가 된다. “짧은 문장을 써라. 첫 단락은 짧게 써라. 힘 있는 영어를 써라. 긍정적이되, 부정적이면 안 된다.”[10]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부상

1917년 12월 헤밍웨이는 미국 육군에 지원했지만 낮은 시력으로 인해 입대가 좌절되었다.[26] 1918년 초, 적십자 홍보를 통해 이탈리아 야전병원의 수송차 운전병으로 지원했다.[48] 같은 해 5월 뉴욕을 떠나 독일 포병대의 공격으로 폐허가 된 파리에 도착했다.[27] 6월 경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되었고, 이때 존 더스 패서스를 처음 만난 것으로 추정된다.[49]

헤밍웨이가 웃는 얼굴로 침대에 누워있다. 1918년 이탈리아 밀라노 미국 적십자 병원에서의 헤밍웨이.
1918년 이탈리아 밀라노 미국 적십자 병원에서의 헤밍웨이.


7월 8일, 헤밍웨이는 최전선에 있는 병사들에게 초콜릿과 담배 등을 전달하던 중 박격포 공격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57] 부상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병사들을 도왔고, 이 공로로 은성무공훈장(en, it)을 받았다.[61] 당시 18세였던 헤밍웨이는 "소년으로서 전쟁에 뛰어들 때는 불멸이라는 커다란 환상을 갖고 있을 것이다. (중략) 나 자신 또한 그런 일을 겪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것이다."라고 회고했다.[61]

헤밍웨이는 두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고 긴급 수술을 받았다. 이후 밀라노에 위치한 적십자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까지 5일 간 야전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61] 밀라노 적십자 병원에서 6개월간 머무르며 헨리 세라노 빌라드와 방을 함께 썼고, 에릭 도먼스미스와 친분을 쌓았다.[34]

병원에서 헤밍웨이는 7살 연상의 적십자 간호사 애그니스 폰 커로우스키와 사랑에 빠졌다. 1919년 1월, 미국으로 돌아온 헤밍웨이는 곧 결혼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지만, 3월에 아그네스는 이탈리아 장교와 사귀게 되었다는 편지를 보냈다. 전기 작가 제프리 마이어스는 헤밍웨이가 이 실연으로 큰 상처를 받았으며, 이후 연애 패턴에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했다.[37]

2. 3. 토론토와 시카고 시절 (1919-1921)

헤밍웨이는 1919년 초 재충전을 위해 집으로 돌아온다. 열아홉 살에 전쟁을 겪으며 성년이 되었지만, 직업 없이 집에서 회복해야 하는 처지였다.[45] 그해 9월, 헤밍웨이는 고등학교 친구들과 미시간 주 변경의 어퍼반도로 캠핑과 낚시를 떠난다.[46] 이 경험은 자서전적 소설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의 바탕이 된다. 소설 속 주인공 닉 애덤스는 전쟁에서 돌아온 뒤 시골에서 고독을 찾는다.[47] 헤밍웨이는 친척에게 토론토의 일자리를 소개받는다. 그해 말, 《토론토 스타 위클리》(Toronto Star Weekly|토론토 스타 위클리영어)에서 프리랜서 및 전속 작가로 일하기 시작한다. 이듬해 6월 미시간으로 돌아왔고,[48] 9월에는 친구들과 함께 시카고로 이주한다. 그때까지도 《토론토 스타》에 기고하고 있었다.[49]

시카고에서 헤밍웨이는 월간 저널 《코퍼레이티브 커먼웰스》(Cooperative Commonwealth|코퍼레이티브 커먼웰스영어) 부편집장으로 일하며 소설가 셔우드 앤더슨을 만난다.[50] 이때 세인트루이스 출신 해들리 리처드슨이 룸메이트의 여자 형제를 만나러 시카고에 왔고, 헤밍웨이는 해들리에게 반한다.[51] 빨간 머리의 해들리는 헤밍웨이보다 여덟 살 많았지만,[52] 과잉보호적인 어머니 밑에서 자라 또래보다 덜 성숙했다.[53] 버니스 커트(Bernice Kert|버니스 커트영어)는 《헤밍웨이의 여자》(The Hemingway Women|헤밍웨이의 여자영어)에서 해들리가 헤밍웨이에게 아그네스를 떠올리게 했지만, 아그네스에게 없던 어린아이 같은 면모를 가졌다고 말한다. 몇 달간 편지를 주고받은 둘은 결혼하여 유럽 여행을 가기로 한다.[54] 셔우드 앤더슨은 로마 대신 파리를 방문하라고 권한다.[55] 1921년 9월 3일, 헤밍웨이와 해들리는 결혼한다. 두 달 뒤 헤밍웨이는 《토론토 스타》 해외 특파원으로 일하게 되고, 부부는 파리로 떠난다.

2. 4. 파리 시절 (1921-1928)

거트루드 스타인, 제임스 조이스, 에즈라 파운드 같은 거목들을 만나 빠르게 성장한 헤밍웨이는 카르티에 라탱에 위치한 카르디날 르무안 거리 74번지(74 rue du Cardinal Lemoine|74 rue du Cardinal Lemoine프랑스어)의 작은 아파트에 살았으며, 근처 건물의 셋방에서 일을 했다.[7] 파리에서 모더니즘의 수호자였던 스타인[8]은 헤밍웨이의 멘토이자 아들 의 대모가 되었다.[77] 스타인은 헤밍웨이에게 자신이 ‘잃어버린 세대’라고 칭한 몽파르나스에 거주하는 타국 출신의 예술가와 작가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헤밍웨이는 스타인의 살롱의 단골이던 파블로 피카소, 호안 미로, 후안 그리스와 같은 화가들을 접하게 된다.[28] 하지만 헤밍웨이는 스타인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둘의 관계는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문학적인 견해 차로 인해 나빠진다.

1922년에는 실비아 비치의 서점인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에서 에즈라 파운드와 우연히 만나게 된다. 둘은 1923년 이탈리아 여행을 같이 떠나고, 1924년에는 같은 거리에 살게 된다. 둘은 서로 깊은 유대 관계를 맺었고, 헤밍웨이의 재능을 알아차린 파운드는 이를 개발하는데 여러 도움을 주었다.[28] 파운드는 헤밍웨이에게 제임스 조이스를 소개해주었고, 곧 조이스는 헤밍웨이의 친한 술친구가 된다.[82]

파리에서의 첫 스무 달 동안 헤밍웨이는 《토론토 스타》에 여든여덟 개의 글을 기고한다.[24] 헤밍웨이는 그리스-터키 전쟁을 보도하면서 스미르나 대화재를 직접 경험하였으며, ‘스페인의 참치 낚시’나 ‘유럽 전역의 송어 낚시: 독일보다 뛰어난 스페인’과 같은 여행 기사를 쓰기도 하였다.[5]

1923년 9월 헤밍웨이와 해들리는 토론토로 돌아오고, 동년 10월 10일에는 아들 잭 헤밍웨이가 태어난다. 그사이 헤밍웨이의 첫 책인 《세 편의 단편과 열 편의 시》가 출판된다. 몇 달 뒤 두 번째 책인 《우리들의 시대에》(''in our time|in our time영어'', 소문자)가 출판되었다. 토론토가 지겨워진 헤밍웨이는 이내 파리가 그리워졌고, 기자보다는 작가로서의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졌다.

헤밍웨이와 해들리는 1924년 1월 파리로 돌아와 노트르담 데샹 거리(rue Notre-Dame des Champs|rue Notre-Dame des Champs프랑스어)에 위치한 아파트로 집을 옮긴다. 헤밍웨이는 포드 매덕스 포드의 《더 트랜스아틀랜틱 리뷰》(''The Transatlantic Review|The Transatlantic Review영어'') 편집을 도와줬는데, 이 문예지에는 파운드, 존 더스 패서스, 엘사 폰 프라이타크로링호벤, 스타인의 작품 뿐만 아니라 헤밍웨이의 초기작인 〈인디언 부락〉 등이 실렸다.[126] 1925년 출판된 《우리들의 시대에》(''In Our Time|In Our Time영어'', 대문자)에는 포드의 평이 실렸다.[34][127]인디언 부락〉은 평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미국의 평론가들은 헤밍웨이 특유의 간결한 문체를 통해 단편이라는 장르를 새로이 되살아나게 하였다는 평을 내렸다. 여섯 달 뒤 헤밍웨이는 F. 스콧 피츠제럴드를 만나게 되고, 이내 서로 ‘적대적이면서도 존경하는’ 우정 관계를 맺게 된다. 같은 해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가 출판되었는데, 작품을 읽고 감명받은 헤밍웨이는 자신의 다음 작품을 장편 소설로 정하게 된다.

헤밍웨이는 아내 해들리와 함께 1923년 스페인 팜플로나에서 열린 산 페르민 축제에 가게 된다. 그곳에서 헤밍웨이는 투우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고, 또한 이 때부터 ‘파파’(Papa|Papa영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3] 헤밍웨이는 1924년과 1925년 6월, 팜플로나를 다시 방문한다. 세 번째 방문 때는 더프 트위스덴, 팻 거스리(Pat Guthrie|Pat Guthrie영어), 해럴드 러브(Harold Loeb|Harold Loeb영어)와 함께 가게 된다.[89] 헤밍웨이는 축제가 끝나고 며칠 뒤 자신의 생일날을 기점으로 작품 초안을 쓰기 시작하고, 여덟 주의 시간을 걸쳐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를 완성한다.[189] 1925년 12월에는 오스트리아 슈룬스로 떠나 겨울 내내 원고를 대폭 수정하는데 시간을 보낸다. 이듬해 1월 폴린 파이퍼가 합류하고, 해들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헤밍웨이가 스크리브너스와 계약을 맺도록 만든다. 헤밍웨이는 출판사들과 만나기 위해 뉴욕으로 잠시 떠나고, 돌아오던 중 잠시 머무른 파리에서 파이퍼와 불륜 관계를 맺게 된다. 슈룬스로 돌아온 헤밍웨이는 3월에 원고 수정을 마친다. 원고는 4월이 되어 뉴욕에 도착하였고, 1926년 8월 파리에서 최종적으로 탈고를 한 뒤 스크리브너스에서는 10월에 소설을 출판한다.[189][44]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는 전쟁 직후 해외에서 떠도는 이들의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헤밍웨이의 대표작이다.[192] 헤밍웨이는 이후 편집자인 맥스웰 퍼킨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작품의 요점은 사실 ‘잃어버린 세대’보다는 ‘영원히 머무르는 지구’에 있다고 말하였다. 헤밍웨이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힘들고 지쳤을지언정 그들이 길을 잃어버린 것은 아니기를 원한 것이었다.[82]

해들리와의 결혼 생활은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의 작업을 거듭하면서 나빠지게 된다.[44] 1926년 초, 해들리는 헤밍웨이가 파이퍼와 불륜을 맺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43] 파리로 돌아온 헤밍웨이에게 해들리는 별거를 하자고 말하고, 그해 11월에는 이혼 얘기를 꺼내게 된다. 둘은 재산을 서로 나누고, 헤밍웨이는 해들리에게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의 수익금을 나눠주기로 약속한다. 1927년 1월 정식으로 이혼한 헤밍웨이는 그해 5월에 파이퍼와 재혼을 한다.[172]

파이퍼는 아칸소의 부유한 가톨릭 집안에서 자라났으며, 《보그》의 편집자로 일하며 파리에서 머물렀다. 결혼하기 전 헤밍웨이는 파이퍼를 따라 개종을 하게 된다. 부부는 르 그로뒤루아로 신혼여행을 떠났다. 그곳에서 헤밍웨이는 탄저병에 걸리게 되고, 차기 단편집 구상을 시작하였다. 1927년 10월 출판된 《여자 없는 남자들》에는 그의 권투 경험을 다룬 〈오만 달러〉 등이 수록되어 있다.[195]

그해 말, 아이를 갖게 된 파이퍼는 미국으로 되돌아가기를 원했다. 존 더스 패서스는 키웨스트 섬을 권하였고, 1928년 3월 부부는 그의 충고를 따라 파리를 떠나게 된다. 파리를 떠나기 전 헤밍웨이는 집 화장실에서 사고로 인해 크게 다치고 만다. 변기 체인을 내리려다 실수로 천창을 아래로 잡아당기며 머리를 부딪혔으며, 이 사고로 이마에 큰 상처를 갖고 살아가게 된 헤밍웨이는 이후에도 상처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대답을 꺼려하게 된다. 파리를 떠난 이후 헤밍웨이는 다시는 대도시에서 살지 않게 된다.[204]

2. 5. 키웨스트와 카리브 해 시절 (1928-1939)

1928년 6월 28일, 캔자스시티에서 아들 패트릭이 태어났다. 파이퍼는 출산 당시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헤밍웨이의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에 잘 나타나있다.[208] 그해 겨울, 아버지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자신 역시 같은 방식으로 죽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210]

1929년, 키웨스트에서 《무기여 잘 있거라》 초고 작업에 집중하여 8월에 원고를 완성하고 9월 27일에 출판했다.[215] 이 작품은 헤밍웨이의 작가적 위상을 공고히 했다. 같은 해 여름, 스페인에서 《오후의 죽음》 집필을 시작했다. 그는 투우를 삶과 죽음 그 자체를 다룬다는 점에서 ‘굉장히 비극적인 취미’라고 생각하였다.[144]

1930년대 초반, 겨울은 키웨스트, 여름은 와이오밍에서 사냥을 하며 보냈다.[222] 1930년 11월, 교통사고로 오른팔이 부러져 7주 동안 병원 신세를 졌으며, 회복에 1년 가까이 걸렸다.[31] 1931년 11월 12일, 셋째 아들 그레고리 헤밍웨이가 태어났다.[144] 폴린의 삼촌은 부부에게 키웨스트에 위치한 집을 마련해주었고, 헤밍웨이는 이 집에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집필하였다.[222] 그는 동네 술집 슬로피 조스의 단골이었으며, 친구들과 낚시나 드라이토르투가스 여행을 즐겼다.

1933년, 케냐로 사파리 여행을 떠나 《아프리카의 푸른 언덕》, 〈킬리만자로의 눈〉,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의 소재를 얻었다.[9] 1934년, 낚싯배 필라 호를 구입하여 카리브 제도를 항해했다. 1935년에는 비미니 섬을 방문하여 많은 시간을 보냈다.[9] 이 기간 동안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집필, 1937년에 출간했다.

키웨스트에 위치한 헤밍웨이의 생가. 헤밍웨이는 이 곳에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집필하였다.


1935년 비미니로 떠난 낚시 여행에서의 어니스트, 폴린, 잭, 패트릭, 그레고리.


헤밍웨이는 보트 '필라'의 선실에서, 쿠바 해안에서,

2. 6. 스페인 내전 종군 (1937-1939)

1937년 헤밍웨이는 폴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북아메리카 신문 연맹(NANA) 특파원으로 스페인 내전 보도를 맡기 위해 스페인으로 떠났다.[1] 헤밍웨이는 요리스 이벤스와 시나리오 작가 계약을 맺고 《스페인의 대지》를 제작하였다.[2] 그러나 헤밍웨이의 친구이자 스페인어 통역가인 호세 호블레스가 처형되자 더스 패서스는 작품 제작을 그만두었고, 이로 인해 헤밍웨이와 패서스는 서로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3][4]

사진 설명 참고.
1937년 스페인 내전 중 헤밍웨이(가운데)와 네덜란드 영화 제작자 요리스 이벤스(왼쪽), 당시 국제여단에서 지휘관을 맡은 독일의 소설가 루트비히 렌(오른쪽).


헤밍웨이는 스페인에서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마사 겔혼을 만나게 된다. 겔혼은 이전에 키웨스트에서 헤밍웨이와 만난 적이 있었다. 마사는 해들리와 마찬가지로 세인트루이스 출신이었으며, 폴린과 마찬가지로 파리에서 《보그》에서 일한 경험이 있었다.[5] 1937년 7월에는 전쟁 중 지식인들의 자세에 대해 토론하기 위해 개최된 제2차 세계작가회의에 참가하였다.[6]

1937년 말 마사와 함께 마드리드에 머무르던 헤밍웨이는 프랑코 세력에 의해 도시가 폭격당하는 것을 겪었고, 자신의 유일한 희곡인 《제5열》을 집필한다.[7] 몇 달 뒤 키웨스트로 돌아온 그는 1938년 에브로 전투가 한창이던 스페인을 다시 방문한 후, 다른 일부 영국·미국 기자들과 마찬가지로 현장을 떠난다.[8][9]

2. 7. 쿠바 시절 (1939-1960)

1939년 봄, 배를 타고 쿠바에 도착한 헤밍웨이는 아바나에 있는 암보스문도스 호텔에서 7년 동안 살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헤밍웨이는 마사 겔혼과 외도를 하면서 폴린 파이퍼와 점점 멀어진다.[1] 마사가 쿠바에 도착하고, 둘은 아바나에서 약 24.14km 떨어진 곳에 있는 15acre 규모의 ‘핑카 비히아’ 농장을 빌려 살게 된다. 헤밍웨이는 와이오밍에서 폴린과 아이들을 다시 만나지만, 그해 여름 폴린은 아이들과 함께 헤밍웨이를 떠난다. 폴린과 이혼 후, 헤밍웨이는 1940년 11월 20일 샤이엔에서 마사와 결혼한다.[2]

해들리와 이혼 후, 헤밍웨이는 계절에 따라 거주지를 옮긴다. 여름에는 주로 아이다호주 케첨의 선밸리 휴양지 근처에서, 겨울에는 쿠바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3] 헤밍웨이는 원래 고양이를 싫어했지만, 쿠바에 오면서 고양이에게 빠져 수십 마리를 집에서 키웠다.[4] 이 고양이들의 후손은 ‘헤밍웨이 고양이’라고 불리며, 아직도 그의 키웨스트 집에 여러 마리가 살고 있다.

헤밍웨이는 겔혼에게 영감을 받아 1939년 3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집필한다.[5] 1940년 출간된 이 소설은 쿠바, 와이오밍, 선밸리를 오가며 완성되었고, 이달의 책 클럽에 선정되어 한 달 만에 백만 부가 팔렸으며, 퓰리처상 후보에도 올랐다. 메이어스는 이를 헤밍웨이의 문학적 명성이 다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했다.[6]

1941년 1월, 마사는 잡지 《콜리어스》와의 계약으로 중국으로 간다.[7] 헤밍웨이는 신문 《PM》 특파원 자격으로 동행했지만, 중국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다.[8] 2009년 출판된 책에서는 이 기간 동안 헤밍웨이가 ‘아르고 요원’(Agent Argo영어)이라는 암호명으로 소련 비밀 요원으로 활동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 부부는 그해 12월 미국이 선전포고를 하기 직전 쿠바로 돌아온다.[10] 헤밍웨이는 쿠바 해안에 나타난 독일 잠수정을 공격하기 위해 쿠바 정부에 자신의 필라 호를 수리해달라고 요청한다.[11]

2. 8. 아이다호 시절과 죽음 (1960-1961)

1960년, 헤밍웨이는 스페인을 방문하여 《위험한 여름》을 집필한다. 이 시기, 그는 건강 악화와 편집증에 시달렸으며, FBI가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는 망상에 빠지기도 했다.[218] 메이오 클리닉에서 전기 경련 요법 치료를 받았으나, 1961년 7월 2일 아이다호 케첨 자택에서 엽총으로 자살한다. 그의 시신은 케첨 묘지에 안장되었다.[218]

헤밍웨이의 자살 원인으로는 유전성 혈색소침착증, 우울증, 잦은 사고로 인한 뇌 손상 등이 거론된다.[218]

3. 작품 세계

마크 트웨인, 스티븐 크레인, 시어도어 드라이저, 싱클레어 루이스의 전통을 잇는 헤밍웨이는 소설가가 되기 전 언론인이었다.[9] 1926년 뉴욕 타임스는 헤밍웨이의 첫 소설에 대해 "어떤 분석도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의 퀄리티를 전달할 수 없다. 그것은 진정으로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더 많은 문학적 영어를 부끄럽게 만드는 간결하고 단단하며 운동적인 서술체 산문으로 쓰였다."라고 평했다.[194]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는 간결하고 촘촘한 산문으로 쓰여 헤밍웨이를 유명하게 만들었으며, 제임스 네이글은 "미국 문학의 본질을 변화시켰다."라고 평가했다.[195] 1954년 노벨 문학상 수상 당시, 위원회는 '최근작인 《노인과 바다》에서 보여준 서사 기술의 완벽함과, 현대적인 스타일을 구사한 공적'을 수상 사유로 삼았다.[196]

헨리 루이스 게이츠는 헤밍웨이의 스타일이 근본적으로 제1차 세계 대전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헤밍웨이와 다른 모더니즘 작가들은 19세기 작가들의 정교한 스타일에 반발하여 "대화와 동작, 그리고 침묵을 통해 의미가 전달되는, 즉 어떠한 중요한 것도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문체를 만들었다.[20]

헤밍웨이는 단편 소설 작가로 시작하여, "최소한의 것으로 최대의 것을 얻는 방법, 언어를 다듬는 방법,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그리고 진실 이상을 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실만을 말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한다.[203]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빙산 이론이라고 불렀는데, 사실은 물 위에 떠 있고, 지지 구조와 상징은 보이지 않게 작용하는 것이다.[203] 빙산 이론은 "생략의 이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헤밍웨이는 작가가 한 가지를 묘사할 수 있지만, 그 표면 아래에서는 완전히 다른 일이 일어난다고 믿었다.[204]

잭슨 벤슨은 헤밍웨이가 자전적인 세부 사항을 일반적인 삶, 즉 그의 삶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프레이밍 장치로 사용했다고 본다. 예를 들어, 벤슨은 헤밍웨이가 자신의 경험을 "만약 ~라면" 시나리오로 끌어냈다고 가정한다. "만약 내가 밤에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부상을 입었다면? 만약 내가 부상을 입고 미쳐버렸다면, 내가 전선으로 돌아가면 어떻게 될까?"[208] "단편 소설의 예술"에서 헤밍웨이는 "내가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몇 가지가 있다. 만약 당신이 알고 있는 중요하거나 중요한 사건을 생략한다면, 이야기는 강화된다. 만약 당신이 그것을 몰라서 무언가를 생략하거나 건너뛴다면, 그 이야기는 가치가 없을 것이다. 어떤 이야기든, 당신의 편집자가 아닌 당신이 생략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지가 그 이야기의 시험대이다."라고 설명했다.[209]

산문의 단순함은 속임수이다. 조이 트로드는 헤밍웨이가 헨리 제임스가 제1차 세계 대전이 "단어들을 다 써버렸다"라고 관찰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골격 문장을 만들었다고 믿는다. 헤밍웨이는 "다중 초점"적인 사진 현실을 제공한다. 그의 생략의 빙산 이론은 그가 구축하는 기반이다. 문법적 접속사가 부족한 구문은 정적인 문장을 만든다. 사진 같은 "스냅샷" 스타일은 이미지의 콜라주를 만든다. 많은 종류의 내부 구두점(콜론, 세미콜론, 대시, 괄호)은 짧은 서술 문장을 선호하여 생략된다. 문장들은 서로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사건들이 전체의 감각을 만들어낸다. 여러 가닥이 하나의 이야기 안에 존재한다. "내장된 텍스트"는 다른 각도로 연결된다. 그는 또한 한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빠르게 "잘라내기" 또는 한 장면을 다른 장면으로 "이어 붙이기"와 같은 다른 영화 기법을 사용한다. 의도적인 생략은 독자가 마치 작가의 지침에 따라 반응하는 것처럼 간극을 채울 수 있도록 하여 3차원 산문을 만든다.[211] "그리고"와 같은 접속사는 쉼표 대신 습관적으로 사용된다. 즉시성을 전달하는 다중접속 사용이다. 헤밍웨이의 다중 접속적 문장, 또는 후기 작품에서 종속절의 사용은 접속사를 사용하여 놀라운 비전과 이미지를 병치한다. 벤슨은 그것들을 하이쿠에 비유한다.[212][213]

헤밍웨이의 추종자 중 많은 사람들이 그의 스타일을 잘못 해석하여 감정 표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솔 벨로우는 이 스타일을 "감정이 있니? 그것들을 억눌러."라고 풍자했다.[214] 헤밍웨이의 의도는 감정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었다. 그는 《오후의 죽음》에서 "신문에 글을 쓸 때 당신은 일어난 일을 이야기했지만... 진정한 것, 감정을 만들고 1년 또는 10년 후에도 유효하며, 운이 좋고 순수하게 말한다면 항상 유효할 움직임과 사실의 순서는 나에게는 미치지 못했다."라며 이미지의 콜라주로 감정을 전달하려고 노력했다.[215]

3. 1. 주제

헤밍웨이의 작품에는 사랑, 전쟁, 황야, 패배가 주요 주제로 등장한다.[2] 비평가 레슬리 피들러는 성스러운 땅에 해당하는 프런티어가 주제라고 설명하였다. 그의 작품 속에서 프런티어는 스페인과 스위스, 아프리카의 산과 미시간의 강까지 확장되어 묘사된다. 이는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 등장하는 호텔 몬태나의 이름에 잘 나타나있다.[3] 스톨츠푸스와 피들러에 따르면 헤밍웨이의 작품 속에서 자연은 부활과 휴식의 장소이다. 자연에서 사냥꾼은 자신의 사냥감을 죽일 때 불멸에 가까운 일종의 초월성을 경험할 수 있다고 헤밍웨이는 믿었다.[4] 또한 자연은 여자 없이 남자만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남자는 낚시하고 사냥하며 자연 속에서 구원을 받기도 하였다.[3] 헤밍웨이가 스포츠를 주제로 글을 자주 쓰긴 했지만, 카를로스 베이커는 헤밍웨이가 스포츠보다는 그 스포츠를 행하는 사람에 더 주목한 점을 강조하였다.[5]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에 잘 나타나 있듯이, 본질적으로 헤밍웨이 작품의 대다수는 자연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6]

피들러는 헤밍웨이가 미국 문학의 만연한 기조였던 사악한 여성과 선한 여성을 도치시켰다고 평하였다. 사악한 여성에 해당하는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의 브렛 애슐리는 여신으로, 선한 여성에 해당하는 〈프랜시스 매코머의 짧지만 행복한 생애〉의 마고 매콤버는 살인마로 묘사되는 것이 그 예이다.[3] 로버트 스콜스는 〈매우 짧은 이야기〉와 같은 초기작에서 남성 등장인물은 긍정적으로 묘사된 반면, 여성 등장인물은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고 평가했다.[7] 리나 샌더슨에 의하면 초기 헤밍웨이의 비평가들은 남성적인 추구만을 따르는 남성 중심의 세계를 묘사한 작품에 대해 칭찬했으며, 이 당시 ‘창녀’ 아니면 배우자처럼 이분법적으로만 묘사되었다. 이에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헤밍웨이를 제1의 공공의 적으로 부르며 공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여성 등장인물의 작품 속 묘사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헤밍웨이가 갖고 있던 젠더 문제에 대한 감수성에 대해 주목을 하기 시작하였다.[8]

여성과 죽음이라는 주제는 일찍이 〈인디언 부락〉에서부터 등장하였다. 특히 죽음은 헤밍웨이 작품 속 깊이 스며들어 있는데, 필립 영은 〈인디언 부락〉에서 강조하고자 한 것은 출산을 하는 여성이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남성이 아닌, 어린아이로서 일련의 사건들을 경험하는 닉 애덤스에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인디언 부락〉은 애덤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작품으로, 영은 이후 헤밍웨이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일종의 ‘마스터 키’에 해당한다고 보았다.[10] 스톨츠푸스는 헤밍웨이의 작품이 실존주의에 내재된 진실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매우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무(無)를 받아들이면 죽음의 순간에 구원받을 수 있으며, 위엄과 용기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자가 진정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프랜시스 매코머는 자신의 삶 마지막 몇 시간이 진정되었기에 행복하게 죽을 수 있었던 것이다. 작품 속 투우에서 투우사는 진정한 삶의 절정을 나타낸다.[4] 티모 뮐러 역시 이에 동의하며 ‘현대 문학에 있어 군인, 어부, 권투 선수, 시골뜨기야 말로 진정성의 원형’이라고 말하였다.[11]

그의 작품 속에서는 거세도 주요 주제로 자주 쓰인다. 《승리자에겐 아무것도 주지 말라》의 단편 〈만백성 기뻐하여라〉와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가 대표적이다. 피들러는 거세를 전쟁에서 다친 부상병들의 세대의 결과이자 브렛과 같은 해방을 맞은 여성 세대의 결과로 보았다.[3] 〈만백성 기뻐하여라〉에서 거세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등장하여 종교적인 죄책감과 연결된다. 베이커는 헤밍웨이가 작품 속에서 ‘자연스러운 것’과 ‘부자연스러운 것’을 대조적으로 강조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알프스의 목가〉에서 늦봄 고원에서 스키를 타는 ‘부자연스러움’은 한겨울 죽은 아내를 헛간에 오랜 기간 보관하는 농부의 ‘부자연스러움’과 병렬되어 묘사된다. 스키를 타는 이와 농부는 구원을 위해 계곡에서 ‘자연스러운’ 봄으로 도피한다.[12]

음식에 대한 묘사 역시 중요히 여겨볼 주제 중 하나이다. 〈두 개의 심장을 가진 큰 강〉에서 배고픈 닉 애덤스는 돼지고기와 콩, 스파게티 통조림을 요리한다. 홀로 음식을 준비하는 원초적인 행동은 전후 통합을 기원한 헤밍웨이의 서술 방식 중 하나이다.[13]

3. 2. 문체

1926년 뉴욕 타임스는 헤밍웨이의 첫 소설에 대해 “그 어떠한 분석도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의 뛰어남을 전달하지 못할 것이다. 간결하고, 견고하며, 탄탄한 서사로 전달되는 흥미진진한 산문으로 기존 영문학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정도이다.”라고 평했다.[194] 제임스 네이글(James Nagel)은 ‘미국 문학의 본질을 바꾸었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195] 1954년 노벨 문학상 수상 당시, 위원회는 ‘최근작인 노인과 바다에서 보여준 서사 기술의 완벽함과, 현대적인 스타일을 구사한 공적’을 수상 사유로 삼았다.[196]

헨리 루이스 게이츠는 헤밍웨이의 스타일이 근본적으로 그가 직접 겪은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헤밍웨이와 같은 다른 모더니즘 작가들은 서구 문명의 제도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였다. 이에 반발한 작가들은 19세기에 유행한 복잡한 문체 대신 ‘대화와 동작, 그리고 침묵을 통해 의미가 전달되는, 즉 어떠한 중요한 것도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문체를 만들어내었다.[20]

헤밍웨이는 단편 서술로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면서, ‘가장 적게 들여 가장 많은 것을 얻는 법, 말을 다듬는 법, 말의 강도를 증폭시키는 법, 사실만을 이야기하면서도 사실이 아닌 것들까지 보여주는 방법’을 배워나갔다고 설명하였다.[203]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빙산 이론이라고 불렀는데, 진실은 수면 위에 떠오르고 이를 지지하는 체계와 상징은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다.[203] 빙산 이론은 때때로 ‘생략 이론’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헤밍웨이는 작가가 무언가를 서술할 때, 그 수면 아래에서 일어나는 전혀 다른 것들을 가지고도 충분히 묘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잭슨 벤슨(Jackson Benson)은 헤밍웨이가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삶 전반에 대해 묘사할 때 자전적인 경험을 일종의 뼈대로 삼았다고 말했다. 그는 헤밍웨이가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라는 가상의 시나리오에 바탕을 두고 자신의 경험을 활용했다고 상정하였다. “만약에 밤에 잠들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부상을 입는다면 어떻게 될까”, “심하게 부상을 입은 채로 전선에 되돌아간다면 어떻게 될까?”[208] 〈단편 소설의 예술〉에서 헤밍웨이는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알게 된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이미 알고 있는 중요한 것이나 사건을 생략한다면 이야기는 더욱 단단해진다. 잘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무언가를 생략하거나 넘긴다면 가치 없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이야기가 얼마나 좋은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바로 편집자가 아닌 작가가 얼마나 생략을 잘하느냐에 달려 있다.”라고 설명하였다.[209]

조 트로드(Zoe Trodd)는 헤밍웨이가 헨리 제임스제1차 세계 대전이 "단어들을 다 써버렸다"라고 관찰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골격 문장을 만들었다고 믿는다. 헤밍웨이는 "다중 초점"적인 사진 현실을 제공한다. 그의 생략의 빙산 이론은 그가 구축하는 기반이다. 문법적 접속사가 부족한 구문은 정적인 문장을 만든다. 사진 같은 "스냅샷" 스타일은 이미지의 콜라주를 만든다. 많은 종류의 내부 구두점(콜론, 세미콜론, 대시, 괄호)은 짧은 서술 문장을 선호하여 생략된다. 문장들은 서로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사건들이 전체의 감각을 만들어낸다. 여러 가닥이 하나의 이야기 안에 존재한다. "내장된 텍스트"는 다른 각도로 연결된다. 그는 또한 한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빠르게 "잘라내기" 또는 한 장면을 다른 장면으로 "이어 붙이기"와 같은 다른 영화 기법을 사용한다. 의도적인 생략은 독자가 마치 작가의 지침에 따라 반응하는 것처럼 간극을 채울 수 있도록 하여 3차원 산문을 만든다.[211]

헤밍웨이는 작품과 개인적인 글 모두에서 쉼표 대신 접속사 ‘그리고’(and)를 자주 사용했다. 이러한 방식은 이음말 잦기(polysyndeton)로 불리는데, 헤밍웨이는 이를 통하여 ‘이미지의 선명한 시각적 흐름’을 만들어내었다. 잭슨 벤슨은 이런 양식을 하이쿠에 비교하여 설명하였다.[212][213] 많은 이들이 헤밍웨이의 의도를 잘못 해석하여, 그의 감정 표현에 반기를 들기도 하였다. 솔 벨로는 그의 문체를 풍자하며 “감정을 갖고 있는가? 목 졸라 죽여버리면 된다.”라며 풍자하기도 하였다.[214] 그러나 헤밍웨이의 의도는 감정을 없애라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묘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헤밍웨이는 “진짜의 일, 그 정서를 불러일으킨 동작과 사실의 연속, 1년이 지난 뒤, 또는 10년이 지난 뒤, 아니, 다행히 웬만큼 순수하게 기록한다면, 그 후 언제까지나 변함없이 타당할 그 연속은 도저히 붙잡을 수 없는 것이었고, 나는 또 그것을 붙잡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라고 말하였다.[215]

4. 영향 및 유산

헤밍웨이는 미국 문학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사후에도 많은 작가들이 그의 문체를 모방하거나 피하려 했다.[193]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로 명성을 얻은 헤밍웨이는 자신만의 문체를 만들어 전후 세대의 대변인이 되었다.[194] 1933년 나치는 그의 책을 '현대 타락의 상징'이라며 불태웠고,[195] 부모조차 그의 작품을 저속하다며 부정했을 정도로 충격적이었다. 레이놀즈는 헤밍웨이가 평탄치 않은 삶과 여러 번의 결혼, 부정적인 평론에도 불구하고 문화유산의 일부가 된 소설과 이야기를 남겼다고 평가했다.[15]

벤슨은 헤밍웨이의 발자취가 '착취의 주요 수단'이 되어 일종의 '헤밍웨이 산업'을 만들었다고 말했다.[196] 할레그렌은 '하드보일드 문체'와 남성성을 헤밍웨이와 연결지어 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97] 벤슨은 헤밍웨이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처럼 내향적이고 고독했지만, 허풍으로 이를 숨겼다고 말했다.[198] 샐린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헤밍웨이를 만나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자신을 '헤밍웨이 팬 클럽 전국 회장'이라 칭하기도 했다.[4]

헤밍웨이의 유산은 문학 외에도 다양하다. 1978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체르니크가 발견한 소행성체는 3656 헤밍웨이로 명명되었고,[199] 2009년 수성의 분화구 중 하나도 헤밍웨이로 명명되었다.[200] 1965년 레이 브래드버리는 헤밍웨이가 킬리만자로 산 정상으로 이동한다는 내용의 단편 《킬리만자로 장치》를 발표했다.[201] 1993년 영화 《월터와 프랭크》는 플로리다 해안 마을에서 은퇴한 두 친구의 우정을 다뤘다.[202] 헤밍웨이의 이름이나 《강 건너 숲속으로》에 등장하는 해리스(Harry's영어)의 이름을 딴 식당도 여럿 있다.[203] 헤밍웨이의 아들 잭은 아버지를 기리는 가구 제품을 홍보했고,[204] 몽블랑은 헤밍웨이 만년필 시리즈를 출시했다.[205] 1977년에는 '세계 헤밍웨이 모방 대회'가 만들어져, 참가자들은 헤밍웨이 문체를 모방한 작품을 제출하고 우승자는 이탈리아 해리스 바 방문 티켓을 받았다.[206]

1965년 메리 웰시는 헤밍웨이 재단을 설립했고, 1970년대 존 F. 케네디 도서관에 헤밍웨이 작품 일부를 기증했다. 1980년 기증된 작품을 연구하던 학자들이 헤밍웨이 학회를 결성, 저널 《헤밍웨이 리뷰》(The Hemingway Review영어)를 출간했다.[207][208][209][210] 펜/헤밍웨이 문학상과 프레미오 헤밍웨이(Premio Hemingwayit) 등 그의 업적을 기리는 상도 제정되었다.[211][212] 2012년 헤밍웨이는 시카고 문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13]

마크 트웨인, 스티븐 크레인, 시어도어 드라이저, 싱클레어 루이스의 전통을 이어, 헤밍웨이는 소설가가 되기 전 언론인이었다.[9] 1926년, 《뉴욕 타임스》는 헤밍웨이의 첫 소설에 대해 "어떤 분석도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의 퀄리티를 전달할 수 없다. 그것은 진정으로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더 많은 문학적 영어를 부끄럽게 만드는 간결하고 단단하며 운동적인 서술체 산문으로 쓰였다."라고 평가했다.[194]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는 헤밍웨이를 유명하게 만든 간결하고 촘촘한 산문으로 쓰였으며, 제임스 네이글에 따르면 "미국 문학의 본질을 변화시켰다."[195] 1954년, 헤밍웨이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을 때, 그것은 "서술 기법의 숙련도, 최근 《노인과 바다》에서 보여준 솜씨, 그리고 현대 스타일에 그가 미친 영향"에 대한 것이었다.[196] 헨리 루이스 게이츠는 헤밍웨이의 스타일이 근본적으로 "세계 대전에 대한 [그의] 경험에 대한 반작용"으로 형성되었다고 믿는다.[20]

헤밍웨이의 소설은 종종 영어 외의 언어에서 문법적, 스타일적 구조를 사용했다.[197] 비평가 앨런 조셉스, 미미 글래드스타인, 제프리 헐리-메라가 헤밍웨이의 산문에 미친 스페인어의 영향을 연구했으며,[198][197] 때때로 다른 언어로 직접 나타나거나(이탤릭체로, 《노인과 바다》에서처럼) 영어로 직역되기도 한다. 그는 또한 이중 언어 유희와 상호 언어적인 말장난을 스타일적 장치로 자주 사용했다.[199][200][201]

베이커는 헤밍웨이가 단편 소설 작가로 시작했기 때문에 "최소한의 것으로 최대의 것을 얻는 방법, 언어를 다듬는 방법,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그리고 진실 이상을 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실만을 말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믿는다.[203] 헤밍웨이는 자신의 스타일을 빙산 이론이라고 불렀다. 즉, 사실은 물 위에 떠 있고, 지지 구조와 상징은 보이지 않게 작용한다.[203] 빙산 이론의 개념은 때때로 "생략의 이론"이라고 불린다. 헤밍웨이는 작가가 한 가지를 묘사할 수 있지만, 그 표면 아래에서는 완전히 다른 일이 일어난다고 믿었다.[204] 폴 스미스는 헤밍웨이의 첫 번째 단편 소설집인 《우리 시대》에서 그가 아직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을 실험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고,[205] 스페인이나 다른 나라에 대해 글을 쓸 때 외국어를 텍스트에 통합했는데, 때때로 다른 언어로 직접 나타나거나(이탤릭체로, 《노인과 바다》에서처럼) 영어로 직역되기도 한다.[206] 일반적으로, 그는 복잡한 구문을 피했다. 문장의 약 70%는 단문으로, 종속절이 없는, 단순하고 어린아이 같은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다.[207]

잭슨 벤슨은 헤밍웨이가 자전적인 세부 사항을 일반적인 삶, 즉 그의 삶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프레이밍 장치로 사용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벤슨은 헤밍웨이가 자신의 경험을 사용하고 "만약 ~라면" 시나리오로 끌어냈다고 가정한다. "만약 내가 밤에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부상을 입었다면? 만약 내가 부상을 입고 미쳐버렸다면, 내가 전선으로 돌아가면 어떻게 될까?"[208] "단편 소설의 예술"에서 헤밍웨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내가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몇 가지가 있다. 만약 당신이 알고 있는 중요하거나 중요한 사건을 생략한다면, 이야기는 강화된다. 만약 당신이 그것을 몰라서 무언가를 생략하거나 건너뛴다면, 그 이야기는 가치가 없을 것이다. 어떤 이야기든, 당신의 편집자가 아닌 당신이 생략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지가 그 이야기의 시험대이다."[209]

산문의 단순함은 속임수이다. 조이 트로드는 헤밍웨이가 헨리 제임스가 제1차 세계 대전이 "단어들을 다 써버렸다"라고 관찰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골격 문장을 만들었다고 믿는다. 헤밍웨이는 "다중 초점"적인 사진 현실을 제공한다. 그의 생략의 빙산 이론은 그가 구축하는 기반이다. 문법적 접속사가 부족한 구문은 정적인 문장을 만든다. 사진 같은 "스냅샷" 스타일은 이미지의 콜라주를 만든다. 많은 종류의 내부 구두점(콜론, 세미콜론, 대시, 괄호)은 짧은 서술 문장을 선호하여 생략된다. 문장들은 서로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사건들이 전체의 감각을 만들어낸다. 여러 가닥이 하나의 이야기 안에 존재한다. "내장된 텍스트"는 다른 각도로 연결된다. 그는 또한 한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빠르게 "잘라내기" 또는 한 장면을 다른 장면으로 "이어 붙이기"와 같은 다른 영화 기법을 사용한다. 의도적인 생략은 독자가 마치 작가의 지침에 따라 반응하는 것처럼 간극을 채울 수 있도록 하여 3차원 산문을 만든다.[211] "그리고"와 같은 접속사는 쉼표 대신 습관적으로 사용된다. 즉시성을 전달하는 다중접속 사용이다. 헤밍웨이의 다중 접속적 문장, 또는 후기 작품에서 종속절의 사용은 접속사를 사용하여 놀라운 비전과 이미지를 병치한다. 벤슨은 그것들을 하이쿠에 비유한다.[212][213]

헤밍웨이의 추종자 중 많은 사람들이 그의 스타일을 잘못 해석하여 감정 표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솔 벨로우는 이 스타일을 "감정이 있니? 그것들을 억눌러."라고 풍자했다.[214] 헤밍웨이의 의도는 감정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었다. 그는 《오후의 죽음》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신문에 글을 쓸 때 당신은 일어난 일을 이야기했지만... 진정한 것, 감정을 만들고 1년 또는 10년 후에도 유효하며, 운이 좋고 순수하게 말한다면 항상 유효할 움직임과 사실의 순서는 나에게는 미치지 못했다." 그는 이미지의 콜라주로 감정을 전달하려고 노력했다.[215] 이러한 이미지를 객관적 상관물로 사용하는 것은 에즈라 파운드,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마르셀 프루스트의 특징이다.[216] 헤밍웨이의 편지는 수년에 걸쳐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여러 번 언급하며, 그가 이 책을 최소 두 번 읽었다는 것을 나타낸다.[217]

5. 주요 작품

참조

[1] 서적 Oliver 1999
[2] 서적 Reynolds 2000
[3] 서적 Meyers 1985
[4] 서적 Oliver 1999
[5] 서적 Meyers 1985
[6] 서적 Reynolds 2000
[7] 서적 Meyers 1985
[8] 서적 Beegel 2000
[9] 서적 Meyers 1985
[10] 뉴스 Star style and rules for writing http://www.kcstar.co[...] 1999-06-26
[11] 서적 Meyers 1985
[12] 서적 Mellow 1992
[13] 서적 Meyers 1985
[14] 서적 Hutchisson 2016
[15] 서적 Mellow 1992
[16] 서적 Mellow 1992
[17] 서적 Hutchisson 2016
[18] 서적 Baker 1981
[19] 서적 Baker 1981
[20] 웹사이트 Hemingway on War and Its Aftermath https://www.archives[...] 2016-08-15
[21] 문서 Desnoyers
[22] 서적 Meyers 1985
[23] 서적 Meyers 1985
[24] 서적 Meyers 1985
[25] 서적 Reynolds 1998
[26] 서적 Mellow 1992
[27] 서적 Meyers 1985
[28] 서적 Oliver 1999
[29] 서적 Kert 1983
[30] 서적 Baker 1972
[31] 서적 Meyers 1985
[32] 서적 Mellow 1991
[33] 서적 Meyers 1985
[34] 서적 Mellow 1992
[35] 서적 Reynolds 2000
[36] 서적 1985
[37] 서적 1985
[38] 서적 1985
[39] 서적 2000
[40] 서적
[41] 서적 1985
[42] 서적 1972
[43] 서적 1985
[44] 서적 1972
[45] 서적 1985
[46] 서적 1992
[47] 서적 1992
[48] 서적 1985
[49] 서적 1972
[50] 서적 1985
[51] 서적 1996
[52] 서적 1985
[53] 서적 1989
[54] 서적 1992
[55] 서적 1972
[56] 서적 1992
[57] 서적 1985
[58] 서적 1972
[59] 서적 1972
[60] 서적 1992
[61] 서적 1992
[62] 서적 1985
[63] 서적 1985
[64] 서적 1992
[65] 서적 1985
[66] 서적 1932
[67] 서적 2005
[68] 서적 1985
[69] 웹사이트 1920–1929 https://www.kumc.edu[...]
[70] 서적 1985
[71] 서적 Clarence Hemingway used his father's Civil War pistol to shoot himself 1985
[72] 서적 1992
[73] 서적 qtd. 1985
[74] 서적 1985
[75] 서적 1992
[76] 서적 1972
[77] 서적 1985
[78] 서적 2000
[79] 서적 She would undergo sex reassignment surgery between 1988 and 1994 2020
[80] 서적 1999
[81] 서적 1985
[82] 서적 1992
[83] 서적 1992
[84] 서적
[85] 서적 1992
[86] 서적 1985
[87] 서적 1985
[88] 서적 1972
[89] 서적 1972
[90] 서적 1992
[91] 서적 2019
[92] 서적 1983
[93] 서적 2005
[94] 서적 1985
[95] 서적 2005
[96] 서적 1972
[97] 서적 2019
[98] 서적 2019
[99] 서적 2005
[100] 서적 2019
[101] 서적 1985
[102] 서적 2019
[103] 서적 2001
[104] 서적 1985
[105] 서적 1987
[106] 서적 1985
[107] 서적 1985
[108] 서적 1985
[109] 서적 2012
[110] 서적 2012
[111] 서적 2012
[112] 서적 2012
[113] 서적 1992
[114] 서적 1985
[115] 서적 1985
[116] 서적 1985
[117] 서적 2012
[118] 서적 2012
[119] 서적 2012
[120] 서적 1983
[121] 서적 1985
[122] 서적 2017
[123] 서적 2012
[124] 서적 1985
[125] 서적 1999
[126] 서적 1992
[127] 서적 1985
[128] 서적 1987
[129] 서적 1985
[130] 서적 1992
[131] 서적 1992
[132] 서적 1985
[133] 서적 1992
[134] 서적
[135] 서적 1985
[136] 서적 1985
[137] 서적 1992
[138] 서적 1992
[139] 서적 1985
[140] 서적 2012
[141] 서적 Desnoyers
[142] 서적 Meyers
[143] 서적 Reynolds
[144] 서적 Mellow
[145] 서적 Mellow
[146] 서적 Mellow
[147] 서적 Meyers
[148] 서적 Beegel
[149] 서적 Lynn
[150] 서적 Baker
[151] 서적 Mellow
[152] 서적 Meyers
[153] 웹사이트 Ernest Hemingway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4 Banquet Speech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9-12-10
[15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4 https://www.nobelpri[...] 2023-01-04
[155] 서적 True at First Light
[156] 서적 Meyers
[157] 서적 Reynolds
[158] 서적 Meyers
[159] 서적 Meyers
[160] 서적 Reynolds
[161] 서적 Mellow
[162] 서적 Meyers
[163] 서적 Reynolds
[164] 서적 Mellow
[165] 서적 Meyers
[166] 서적 Baker
[167] 서적 Reynolds
[168] 서적 Mellow
[169] 서적 Meyers
[170] 서적 Reynolds
[171] 서적 Mellow
[172] 서적 Reynolds
[173] 서적 Reynolds
[174] 서적 The FBI had opened a file on him during World War II, when he used the ''Pilar'' to patrol the waters off Cuba, and [[J. Edgar Hoover]] had an agent in Havana watch him during the 1950s, see Mellow (1992), 597–598; and appeared to be monitoring his movements at that time, as an agent documented in a letter written a few months later, in January 1961, about Hemingway's stay at the Mayo clinic. see Meyers (1985), 543–544
[175] 서적 Meyers
[176] 서적 Reynolds 2000
[177] 서적 Hotchner 1983
[178] 서적 Meyers 1985
[179] 서적 Reynolds 2000
[180] 서적 Reynolds 2000
[181] 서적 Meyers 1985
[182] 웹사이트 Hemingway's Suicide Gun https://gardenandgun[...] 2010-10-20
[183] 서적 Kert 1983
[184] 뉴스 Widow Believes Hemingway Committed Suicide; She Tells of His Depression and His 'Breakdown' Assails Hotchner Book https://www.nytimes.[...] 1966-08-23
[185] 서적 Hemingway 1996
[186] 서적 Burwell 1996
[187] 서적 Burwell 1996
[188] 서적 Burwell 1996
[189] 서적 Oliver 1999
[190] 서적 Farah 2017
[191] 서적 Beegel 2017
[192] 서적 Farah 2017
[193] 서적 Farah 2017
[194] 뉴스 Marital Tragedy https://archive.nyti[...] 1926-10-31
[195] 서적 Nagel 1996
[19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4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197] 서적 Josephs 1996
[198] 간행물 Ernest Hemingway in Spain: He was a sort of Joke, in Fact https://www.academia[...]
[199] 간행물 Bilingual Wordplay: Variations on a Theme by Hemingway and Steinbeck https://muse.jhu.edu[...]
[200] 간행물 Cuba in Hemingway https://www.academia[...]
[201] 간행물 Santiago's Expatriation from Spain https://www.academia[...]
[202] 서적 Oliver 1999
[203] 서적 Baker 1972
[204] 서적 Oliver 1999
[205] 서적 Smith 1996
[206] 서적 Gladstein 2006
[207] 서적 Wells 1975
[208] 서적 Benson 1989
[209] 서적 Hemingway 1975
[210] 서적 Mellow 1992
[211] 문서 Trodd 2007
[212] 문서 McCormick
[213] 문서 Benson 1989
[214] 문서 qtd. in Hoberek 2005
[215] 문서 Hemingway 1932
[216] 문서 McCormick
[217] 문서 Burwell 1996
[218] 문서 Svoboda 2000
[219] 문서 Herlihy 2011
[220] 문서 Herlihy 2011
[221] 문서 Baker 1972
[222] 문서 Fiedler 1975
[223] 문서 Scholes 1990
[224] 문서 Sanderson 1996
[225] 문서 Baym 1990
[226] 서적 A Farewell to Arms Scribner's 1929
[227] 문서 Young 1964
[228] 문서 Stoltzfus 2005
[229] 문서 Müller 2010
[230] 문서 Beegel 1996
[231] 웹사이트 Susan Beegel: What I like about Hemingway http://www.kansascit[...] 2017-07-11
[232] 문서 Oliver 1999
[233] 웹사이트 A Case of Identity: Ernest Hemingway https://www.nobelpri[...] 2023-01-04
[234] 문서 Reynolds 2000
[235] 문서 Benson 1989
[236] 문서 Benson 1989
[237] 문서 Baker 1969
[238] 서적 Swordfish: A Biography of the Ocean Gladiat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04-15
[239]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hemingwa[...] 2021-04-18
[240] 뉴스 Margaux Hemingway's Death Ruled a Suicide https://www.latimes.[...] 1996-08-21
[241] 뉴스 Margaux Hemingway Is Dead; Model and Actress Was 41 https://www.nytimes.[...] 2023-01-04
[242] 뉴스 Coroner Says Death of Actress Was Suicide https://www.nytimes.[...] 2023-01-04
[243] 뉴스 Hemingway estate workers challenge USDA call on cats https://news.google.[...] Los Angeles Times 2011-09-15
[244] 웹사이트 ヘミングウェイゆかりの6本指ネコ、これからも平和に博物館で http://b.hatena.ne.j[...] CNN.co.jp 2011-09-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